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시 기본 소득 3년 동안 매월 지급

청년 정책

by 2030 청년꿀팁 2022. 4. 2. 12:30

본문

서울시 기본 소득 대표 이미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서울시 기본소득에 대해 알려 드리려 합니다.

 

모집기간이 4월 8일까지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지원 내용 확인 후 자격요건에 부합하다면 지원해보세요.

 

 

서울시 기본 소득이란

서울시에서는 소득의 양극화가 심해지며 시범 사업으로 안심 소득을 진행하려 합니다.

 

최저생계 지원을 넘어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해서 소득이 적다면,

더 많이 지원해주는 소득 보장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안심 소득 신청

 

안심 소득 시범사업은 새로운 복지제도 마련을 위하여 저소득층 대상으로 소득 실험에 참여할

지원 집단과 비교집단을 모집 후 연구하는 5년 간의 소득보장 실험입니다.

시범사업에 신청할 경우 비교집단(1,000가구) 또는 지원 집단(500가구)으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

 

선정 가구

지원 집단 500가구 / 비교집단 1,000가구 이상
* 지원집단 : 3년간 안심 소득 매월 지급(안심 소득 지급대상)
* 비교집단 : 연 2회 연구 참여 시 인센티브(상품권 등) 제공(안심 소득 미지급 대상)
* 공통사항 : 지원·비교 집단 모두 5년간 안심 소득 연구 의무적 참여

 

선정 기준 및 방법

소득과 재산기준을 동시에 충족한 가구가 선정 기준에 속합니다.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재산기준 : 3억 2천6백만 원 이하

선정 방법은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가구원수, 연령,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하여 체계적 무작위 추출한다고 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확인하러 가기

 

 그럼 선정된다면 얼마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요?

 

지원 금액

선정절차를 거쳐 7월 최종 500가구 선정하고, 7월 11일부터 3년간 안심 소득 지원해 줍니다.

기준 중위소득 85% 대비 미달액의 50% 지원해 줍니다.(지원 집단 해당자만)

EX)
소득이 500,000원인 1인 가구인 경우, 중위소득 85%인 165만 3,000원에 못 미쳐 115만,3000원의
차이가 납니다. 이것의 절반인 57만 6,500원을 매 월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중복급여되지 않는 제도

생계/주거급여, 기초연금, 서울형기초생활보장, 서울형 주택바우처, 청년수당, 청년월세 중복해서 받을 수 없습니다.

 

 

 

선정 절차

서울시 안심 소득 모집 절차

1. 참여가구 모집 접수
2. 1차 5,000가구 선정
3. 소득 재산조사
4. 2차 1.800가구 기초 선조사
5. 3차 최종 선정 

 

모집기간

서울시 안심 소득 모집 기간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으로 지원 일자가 다르며 글 작성일 기준
요일제 제한 없이 22년 4월 2일 ~ 4월 8일 까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안심소득 신청과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안심 소득 신청 홈페이지

 

서울시 안심소득 신청

 

ssi.seoul.go.kr

 

오늘은 서울시 안심 소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격 요건에 부합한다면, 3년간 매월 지급받을 수 있다니, 너무 좋은 혜택인 것 같습니다.

 

 

댓글과 공감 구독 부탁드려요
블로그를 쓰는데 큰 힘을 줍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